본문 바로가기
역사

조선의 위기와 영웅적인 리더십이 빛난 임진왜란과 광해군

by 신난베짱이 2024. 11. 7.

종이위에_검은색먹으로_한자등이_낙서하듯써있음
이순신 난중일기 및 서간첩 임진장초(출처:국가유산포털)

1. 왜란의 발발과 영향

임진왜란은 1592년에 일본의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조선을 침략하면서 시작된 전쟁으로, 약 7년간 지속되었습니다. 조선은 이 전쟁을 통해 큰 피해를 입었지만, 민중과 의병, 그리고 이순신 장군과 같은 영웅적 인물들의 활약으로 나라를 지킬 수 있었습니다. 

1) 왜란의 배경

임진왜란은 일본의 전국 시대를 통일한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조선을 발판으로 명나라를 정복하려는 야망을 품으면서 시작되었습니다. 히데요시는 대규모 군대를 이끌고 조선 침공을 계획하였으며, 조선 내부로는 양반 사회의 분열로 인한 정치 혼란, 군역 제도의 문란으로 국방력이 약화하여 전쟁에 대한 대비를 하지 못하였습니다.

특히 조선은 일본이 침략할 것이라는 경고를 받았음에도 이를 심각하게 받아들이지 않아 준비가 부족했고, 이는 초기 일본의 대승으로 이어졌습니다.

2) 전쟁의 주요 전개

한양 함락과 조정의 피난

1592년 4월 일본군은 부산진과 동래성을 함락 후 빠르게 북진하여 조선군을 무력화했습니다. 일본군은 단 20여 일 만에 수도 한양(서울)을 점령했습니다. 이후 일본군은 함경도 지역까지 진격하였습니다. 이에 선조는 광해군을 세자로 책봉하고 전쟁의 수습을 맡기고 의주로  피신하며 명에 지원을 요청하였습니다. 

의병의 봉기

한양이 함락되자 전국 각지에서 유생·전직관리·농민등으로 이루어진 의병이 일어났습니다. 백성들은 스스로 조직을 꾸려 일본군에 맞섰으며, 홍의 장군으로 불린 곽재우(경산도 의령), 조헌(금산), 고경명(전라도) 등의 의병장들이 중심이 되어 지역방어에 힘썼습니다. 이들의 활약은 조선군이 일본군에 대항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했고, 일본군의 빠른 진격을 늦추는 데 기여했습니다.

이순신과 수군의 활약

임진왜란에서 가장 큰 반전의 계기는 이순신 장군과 조선의 수군의 활약이었습니다.

이순신은 한산도 대첩과 명량 해전 등에서 일본 수군에 연이은 승리를 거두며 제해권을 장악했습니다.

한산도 대첩(1592)은  이순신 장군이 한산도 앞바다에서 벌어졌으며, 조선의 수근은 학익진 전법을 사용해 일본 함대를 궤멸시킨 전투로, 일본군의 해상 보급을 차단하는데 결정적 역할을 했습니다. 명량 해전(1597)은 전라남도 해남군 명량 해협에서 벌어졌으며, 조선 수군 13척의 배로 133척의 일본수군을 상대한 전투입니다. 조선의 극히 불리한 전력에도 불구하고 일본군을 물리친 전투로, 이순신 장군의 용기와 전술적 능력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승리입니다. 이로 인해 일본군은 조선 내에서 필요한 물자와 병력을 원활히 공급받을 수 없게 되었고, 조선은 전쟁에서 중요한 전환점을 맞게 됩니다.

명나라의 원군 파면과 조·명 연합

조선 조정은 명나라에 구원 요청을 보냈고, 명나라의 원군 파견과 ·명 연합군이 결성되었습니다. 조선과 명의 연합군이 평양성을 탈환하고 진주성에서 김시민, 행주산성에서 권율이 일본군에게 크게 승리하며 , 일본군의 진격을 멈추는 데 성공했습니다. 

정유재란(1597)

조·명 연합군의 승리가 이어지자 일본은 조선과 명에게 휴전을 요청하였습니다. 그러나 휴전 협상은 결렬되고 정유년에 일본이 다시 조선을 침략하였고 이때 이순신이 명량에서 일본의 침략을 막았습니다.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사망하면서 일본은 조선을 떠났습니다.

3) 전쟁의 종결과 임진왜란의 영향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사망(1598)하면서 일본은 철군을 결정하였고, 임진왜란은 공식적으로 종료되었습니다. 그러나 임진왜란은 전쟁 자체뿐만 아니라 그 이후의 조선 사회에도 깊은 영향을 미쳤습니다. 

조선의 전역이 전쟁으로 초토화되며, 많은 백성이 죽거나 다쳤고, 농경지와 주거지의 파괴로 경제적으로도 심각한 타격을 받았습니다. 군사 제도도 변화가 있었습니다. 전쟁 이후 조선은 훈련도감을 설치하고 병농일치제 상비군을 두어 군사적 대비를 강화했습니다. 전쟁으로 궁궐과 많은 문화재가 소실되거나 일본으로 반출되었고, 특히 도자기 기술이 일본에 전해져 임진왜란이 일본 도자기 문화의 발전 계기가 되었습니다.

2. 광해군

광해군은 조선 14대 왕인 선조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습니다. 임진왜란이 발발한 1592년에 세자로 책봉되어 혼란 속에서 왕위를 보필하게 되었습니다. 광해군은 선조를 대신해 전쟁 중 국정을 관리하며 조선을 지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고, 이를 통해 민심과 신뢰를 얻게 되었습니다.

선조가 사망(1608)하자 광해군이 즉위하게 됩니다. 그러나 그의 정통성은 항상 문제시되었습니다. 선조는 생전 그의 다른 아들인 영창대군을 총애했으며, 선조의 사망 직전 일부 사대부들은 영창대군을 왕으로 세우고자 하는 움직임을 보이기도 했습니다. 광해군은 즉위 후에도 이러한 왕위 정통성 문제로 인해 조정 내 반대파와 끊임없는 갈등을 겪어야 했습니다.

광해군은 왜란의 전후 복구와 국가 안정을 위해 다양한 개혁과 외교 정책을 추진했습니다.

1) 전후 복구와 재정 안정

임진왜란으로 조선은 심각한 경제적 타격을 입었습니다. 광해군은 이를 복구하고자 대동법을 실시해 세금을 곡물이 아닌 쌀, 베, 동전 등으로 납부하게 하여 백성의 부담을 줄이고 국가 재정을 안정시키려 했습니다. 이 대동법은 훗날 조선의 세제 혁신으로 백성들의 생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2) 토지 조사와 군사력 증강

광해군은 전쟁 이후 무너진 군사 체제를 정비하기 위해 토지 조사를 강화하고, 재정 확보를 통해 군사력을 강화했습니다. 전쟁 이후 국가의 생존과 국방력의 중요성을 깨달은 광해군은 효율적인 군사 체제를 확립하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3) 중립 외교 정책

광해군의 가장 대표적인 정책 중 하나는 중립 외교입니다. 광해군은 명나라와 후금 사이에서 어느 한쪽에도 치우치지 않으려 했습니다. 그는 명나라와의 요구에 따라 심하 전투에 조선군을 파병했지만, 후금이 우세할 경우 투항하라는 밀명을 내려 조선을 전쟁의 위기에서 구하고자 했습니다.

4) 인조반정과 폐위

광해군의 정책은 실리적이었지만, 명분과 의리를 중시한 사대부들로부터 강한 비판을 받았습니다. 특히 그의 동생 영창대군을 제거하고, 어머니 인목대비를 폐위시키면서 그의 권력에 대한 반감이 커졌습니다. 1623년 서인세력이 주도한 인조반정이 일어나 광해군은 왕위에서 쫓겨나고 강화도로 유배됩니다. 이후 제주도로 옮겨져 여생을 보내다 1641년에 사망하였습니다.

5) 광해군의 역사적 의의와 평가

광해군은 조선의 안정을 위해 실리적이고 유연한 정책을 펼친 군주였습니다. 특히 임진왜란 이후 국가 재건과 백성의 생활 안정에 초점을 맞춘 정책들을 후대에 긍정적으로 평가됩니다. 그러나 그의 중립 외교 정책과 정통성 문제로 인한 정치적 고립은 결국 그의 비극적인 최후로 이어졌습니다.